국민연금 추납·반납 전략으로 월 14만원 더 받는 부부의 선택

SONOW / 2025-04-17
기사 이미지

가입기간 늘리기의 필요성과 구조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가입기간이 길수록 연금 수령액이 늘어나는 구조다. 수급개시 연령(2025년 기준 63세)을 기준으로 10년 이상 보험료를 납부해야 연금 수급 자격을 얻게 되며, 이후 가입기간이 늘수록 수령액이 누적 증가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과거 퇴직으로 가입이 중단된 이들은 반환일시금을 받고 제도에서 이탈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연금 수익률에 대한 인식 변화와 수급 연령 상승으로 인해 반납과 추납을 통해 다시 가입기간을 늘리려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반납은 과거 반환일시금을 받은 이들이 이자와 함께 이를 다시 국민연금공단에 반납함으로써 당시 가입기간을 복원하는 방식이다. 추납은 경력단절 또는 군복무 등으로 납부하지 못한 기간의 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해 가입기간을 늘리는 제도다.

두 방식 모두 현재 보험료를 내고 있어야 신청할 수 있으며, 단기간 내 연금 수령액 증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재무적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다.

실제 사례: 부부가 함께 준비한 노후 전략

A씨와 B씨 부부는 각각의 상황에 맞춰 추납과 반납 전략을 병행했다. 남편 A씨는 60세를 앞두고 과거 군 복무기간 20개월에 대해 추납을 신청했고, 약 112만 원을 납부해 월 연금 수령액이 5만4000원가량 늘어났다.

아내 B씨는 과거 퇴직 후 수령한 반환일시금 366만원에 이자 544만원을 더해 총 910만 원을 공단에 반납했다. 이를 통해 약 101개월의 가입기간을 복원했고, 월 연금 수령액이 약 9만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부부는 총 1022만원을 들여 매달 14만원 이상의 연금을 추가로 수령하게 됐고, 약 9년 이상 수령할 경우 투자금을 모두 회수하는 구조다. 이후부터는 순수익 구간에 진입하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A씨는 향후 임의계속가입으로 48개월을 추가로 납부해 총 503개월의 가입기간을 채우겠다는 계획까지 세운 상태다.

제도 활용 시 유의사항과 전망

반납 제도는 1999년 이전의 가입기간 복원 시 특히 유리하다. 당시 소득대체율이 최대 70%였기 때문이다. 현재는 제도 개편으로 40% 초반까지 낮아진 상황이라, 과거 기록을 살리는 전략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추납은 실직, 경력단절, 군 복무 등 다양한 사유로 인해 발생한 납부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현재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임의가입을 통해 자격을 부여받아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추납은 최대 119개월까지만 가능하므로 전략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추납과 반납을 통해 본인이 감당 가능한 선에서 가입기간을 최대화하는 것이 노후 준비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국민연금의 재정 지속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연금 수급권은 여전히 안정적인 자산으로 평가된다.

부부 단위의 재정 계획 수립 시 반·추납을 통한 장기 캐시플로우 확보는 매우 실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제도 변경 전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된다.

“소득대체율이 높았던 시절의 가입기간을 복원하고, 납부 공백은 전략적으로 추납하라.” - 국민연금 재무설계 전문가
SONOW / 2025-04-17
#국민연금 #추납 #반납 #가입기간 #연금전략 #노후준비